티스토리 뷰
목차
은시세 오늘 확인, 국제 은값 실시간 흐름, 한돈 3.75g·1kg 가격 계산, 환율 10원 변동 영향, 매입가/판매가 스프레드까지 한 번에 점검하는 법을 정리했다. 제가 실제로 쓰는 루틴(국제 시세→국내 매입/판매가→환율→환산→총액 비교)과 신뢰할 만한 추천 사이트 목록을 함께 제공한다.
처음 실물 은을 사러 갔던 날, 온라인 숫자만 보고 매장에 갔다가 결제 금액이 더 높아 당황했다. 국제 은값(USD/oz)을 원화 g당 가격으로 바꾸고 한돈(3.75g)·1kg으로 환산한 뒤, 가공비·세금·스프레드가 더해져 최종 결제가 결정된다는 기본을 몰랐던 탓이었다. 아래 순서만 지키면 누구나 ‘오늘 은시세’를 스스로 계산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살 수 있다.
1. 오늘 은시세 읽는 3단계 루틴(당일 판단용)
1. 국제 은값(USD/oz) 체크
확인 항목 3가지: ① 현재가(USD/oz) ② 일중 고가·저가·변동률 ③ 최근 5거래일 평균.
변동성이 큰 날은 1~15분 분봉, 평온한 날은 4시간봉/일봉으로 추세를 본다.
흐름을 먼저 잡아두면 불필요한 추격매수를 줄일 수 있었다.
2. 국내 실물 시세의 “판매가 vs 매입가” 동시 확인
같은 규격(예: 100g 바 ↔ 100g 바, 1kg 바 ↔ 1kg 바)로 ① 판매가(내가 살 때)와 ② 매입가(내가 팔 때)를 동시에 본다.
두 값의 차이가 곧 스프레드다.
스프레드가 작고 유통량 많은 규격을 고르면 되팔 때 손실을 줄이기 쉽다.
3. 환율(원/달러) 영향
은가격은 달러 기준이므로 환율이 10원만 움직여도 원화 기준 가격이 민감하게 달라진다.
당일 거래 목적이 아니라면 방향성(원화 강·약세)만 체크해도 충분했다.
2. 국제 은값→원화 환산: 공식 + 숫자 예시(핵심 정리)
1. 단위 고정
1 트로이온스(troy oz) = 31.1035g 1kg = 1,000g
1돈 = 3.75g
2. 환산 공식(메모해두기)
원화 g당 가격 = (국제 은값 USD/oz ÷ 31.1035) × 환율(원/달러)
한돈(3.75g) 소재가 = g당 가격 × 3.75
1kg 소재가 = g당 가격 × 1,000
※ ‘소재가’는 금속 순수 가격. 실제 결제액은 아래 항목이 더해진다: 가공비 + 스프레드(유통 마진) + 세금(부가세 등).
3. 숫자 예시 3가지(가정: 국제 은값 30.00달러/oz)
환율 1,250원: g당 ≈ 1,206원 → 한돈 ≈ 4,521원 → 1kg ≈ 1,205,652원
환율 1,300원: g당 ≈ 1,254원 → 한돈 ≈ 4,702원 → 1kg ≈ 1,253,878원
환율 1,380원: g당 ≈ 1,331원 → 한돈 ≈ 4,991원 → 1kg ≈ 1,331,040원
→ 실전에서는 위 값에 가공비·스프레드·세금이 더해진 “총액”을 서로 비교한다. 판매처마다 프리미엄 구조가 다르므로 동일 규격·동일 시각 기준으로 비교해야 정확하다.
3. 추천 사이트 8곳 + 활용법(북마크 필수)
1. 글로벌 기준·벤치마크(기준점 잡기)
LBMA Silver Price: 매일 경매로 산출되는 기준가. 당일 ‘기준점’을 잡을 때 유용하다.
CME Group(코멕스) 실버 선물(SI): 전 세계가 참조하는 거래소 시세. 일중 변동성·거래량을 함께 보며 당일 방향성을 확인한다.
Kitco Live Silver: 온스/그램/킬로 단위 전환이 쉬워 “USD/oz→g당→한돈·1kg” 환산 직전의 흐름 확인에 편하다.
2. 차트·참고용(보조지표·다중 통화)
Investing.com XAG/USD: 무료 차트·지표 도구가 풍부하다. 다만 표시는 ‘지표용’이므로 실거래 환율·국내 실물가와 괴리가 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
TradingView(은선물/현물 코드): 다양한 커뮤니티 아이디어·경고(알림) 설정 지원. 변동성 큰 날 진입·청산 트리거로 활용하기 좋다.
3. 국내 실물·환율(총액 계산에 직결)
한국금거래소/한국무역금거래소: 실버바·은화의 규격별 판매가/매입가 표를 확인해 스프레드를 읽는다. 되팔 때 기준(매입가)을 반드시 함께 본다.
시중은행 환율(예: 신한/국민/우리): 실제 적용되는 현찰/송금 매매율 확인. 국제 시세를 원화로 바꿀 때 이 값으로 계산해야 “오늘 결제액”이 맞아 떨어진다.
한국은행 공개자료: 기준환율 체계와 통계 확인. 왜 국제 시세와 국내 총액 사이에 차이가 생기는지 구조를 이해하게 해 준다.
추가 팁(활용 순서): ① CME·Kitco로 국제 시세 확인 → ② 은행 환율로 g당·한돈·1kg 환산 → ③ 국내 금거래소의 판매가·매입가를 동시에 열고 스프레드 비교 → ④ ‘총액’이 합리적일 때만 결제.
4. 최종 결제액 만드는 요령과 체크리스트(실수 방지)
1. 총액 산출 공식(한 줄)
최종 결제액 = 소재가(내 계산) + 가공비 + 스프레드(+세금).
판매처에 “항목별 분리 표기”를 요청하면 비교가 훨씬 쉬워진다.
2. 스프레드를 줄이는 3가지 방법
같은 판매처의 매입가 정책을 미리 확인해 되팔 때 손실을 줄인다.
유통량 많은 규격(100g·1kg 바, 인기 은화)을 고른다.
급등일에는 추격매수 대신 스프레드가 좁은 곳을 우선 탐색한다.
3. 보관·서류 기본
변색 방지: 지퍼백+건조제, 저습도 환경.
안전: 자택 금고/은행 금고 등 사전 결정.
서류: 영수증·인증서·일련번호 사진을 보관하면 매각 시 확인이 빠르다.
해외 시세→국내 매입/판매가→환율을 한 화면에서 보고, 공식으로 g당·한돈·1kg을 환산한 뒤 “총액”만 객관적으로 비교하면 오늘 사도 되는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 추천 사이트 8곳을 북마크해 두고 이 루틴을 반복하면 가격 감이 금방 생긴다.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민 총 주문 금액 조회 채팅상담 ·고객센터 기간별 합산·주문내역 계산 (0) | 2025.09.02 |
---|---|
새마을금고 보험 고객센터 공제지원센터 번호 상담시간·앱 비대면 청구 (0) | 2025.09.01 |
CJ대한통운 택배 직접수령, 당일로 찾아받는 법 (0) | 2025.09.01 |
예전에 먹던 약 이름 찾는 법 | 심평원 ‘내가 먹는 약’·The건강보험·의약품 (0) | 2025.08.30 |
약국 영수증 재발급 방법 | 온라인 발급·오프라인 방문 절차 (0) | 2025.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