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카드 카드번호 조회”, “KB Pay 카드번호 확인”, “소유카드관리 카드번호 보기”, “실물카드 없이 카드번호·유효기간 확인”을 그대로 반영했습니다. 가장 빠른 흐름은 KB Pay 앱 → 메뉴(☰) → 카드관리 → 소유카드관리 → 카드번호 보기 → 본인인증이며, 앱이 어려울 땐 국민카드 홈페이지(MY KB > 정보관리 > 소유카드관리)로 대체하면 됩니다. 출장 중 카드가 없어서 결제창에 멈칫한 경험, 한 번쯤 있으실 겁니다. 저도 같은 일을 겪고 나서 “앱 경로 3줄 + 본인인증 1회”만 외워두니 1분 안에 끝났습니다. 이 글은 실제 화면을 기준으로 숫자 단계로만 정리해, UI가 바뀌어도 따라 하기 쉽도록 구성했습니다. KB Pay에서 카드번호 1분 조회(앱 경로·본인인증·조회 범위) ..

KB국민은행 지점코드 확인 방법을 가장 빠른 순서대로 정리했습니다. ① KB 고객센터 1588-9999 → 상담원 연결 ② KB 홈페이지 ‘지점 안내’에서 지점명/지역 검색(4자리 코드 표시) ③ 금융결제원 ‘금융회사코드 조회’로 지점코드↔지점명 역검색. 혼동되는 은행 코드(004), SWIFT 코드(CZNBKRSE)와의 차이도 분명히 구분합니다. 왜 지점코드가 자꾸 필요해질까 지점코드는 계좌 개설 지점 식별, 각종 서류 작성, 일부 전산 입력(이관·증빙 등)에 자주 등장합니다. 그런데 막상 필요해지면 어디에서, 어떤 이름으로 찾아야 하는지 헷갈리기 쉽습니다.이 글은 사실에 입각한 최소 경로만 남겨, 누구나 3분 내 지점코드를 확인하고, 은행 코드(004)·SWIFT 코드(CZNBKRSE)와의 차이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