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pc 카카오톡 광고 차단 방법을 윈도우10·윈도우11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관리자 권한 메모장으로 hosts 파일을 열어 display.ad.daum.net을 차단하면 카카오톡 광고가 안 보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저장 안 됨(확장자 문제, 권한 오류), 효과 없음(캐시·DNS) 해결과 되돌리기, 방화벽 아웃바운드 규칙 대안까지 포함했습니다.
1) 사용 배경과 핵심 요점
1. 실제 적용 경험
저는 Windows 11 데스크탑과 Windows 10 노트북에서 동일하게 테스트했습니다. 변경 전 hosts 백업, 변경 후 DNS 캐시 초기화, 카카오톡 재실행까지 순서대로 진행했을 때 광고가 즉시 사라졌고, 문제 발생 시 원복도 1분 내 가능했습니다.
2. 해결 원리
display.ad.daum.net 같은 광고 리소스 도메인을 로컬 루프백(127.0.0.1)으로 돌려 연결을 차단합니다.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없이 OS 단에서 막는 방식이라 카카오톡 PC 앱에도 적용되는 게 장점입니다.
3. 주의사항
기업·학교 PC에는 보안 정책이 있어 파일 수정 자체가 차단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정책 내 허용되는 방화벽 규칙(도메인 차단)으로 우회하고, 모든 변경은 내부 정책·약관을 우선해야 합니다.
2) 핵심 절차: hosts 파일로 PC 카카오톡 광고 안 보이게
1. 준비(백업·권한)
1.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파일을 안전한 폴더에 복사해 두세요.
2.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시작 메뉴 → 메모장 우클릭 → 관리자 권한).
3. 카카오톡을 완전히 종료합니다(트레이 아이콘까지 확인).
2. 수정(한 줄 추가)
1. 메모장 [파일] → [열기] →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로 바꾸고 hosts를 엽니다.
2. 맨 아래 줄에 다음을 추가하고 저장합니다:
127.0.0.1 display.ad.daum.net
3. 저장이 안 되면 확장자가 hosts.txt로 바뀌지 않았는지, 관리자 권한으로 열었는지 재확인합니다.
3. 적용(검증·캐시)
1. 명령 프롬프트(관리자)에서 ipconfig /flushdns로 DNS 캐시를 비웁니다.
2. 카카오톡을 다시 실행해 광고 노출 변화를 확인합니다.
3. 필요 시 PC를 재부팅해 시스템 캐시 영향을 배제합니다.
3) 저장 실패·권한 오류·효과 없음: 빠른 트러블슈팅
1. 윈도우11 hosts 파일 저장 안 됨 해결
1. 관리자 권한 미부여가 최다 원인입니다. 메모장이 “관리자”로 열려 있는지 1차 확인.
2. [다른 이름으로 저장] 시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로 두고 파일명을 정확히 hosts로 입력합니다(확장자 없음).
3. 실시간 백신이 시스템 파일 수정을 막을 수 있습니다. 저장 순간만 실시간 보호를 잠시 끄고, 저장 직후 즉시 다시 켜세요.
2. 회사 PC hosts 수정 권한 오류
1. 도메인 정책/EDR이 System32 쓰기를 막을 수 있어 실패합니다. 무단 변경은 보안 위반입니다.
2. 정책 내 허용되는 방화벽 아웃바운드 규칙으로 도메인 차단을 만들면 파일 수정 없이도 동일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3. 보안팀 승인·변경 이력 기록(변경자, 일시, 설정값)을 남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3. display.ad.daum.net 차단했는데 광고가 계속 보임
1. 캐시·세션 영향일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완전 종료→재실행 또는 재부팅 후 재확인합니다.
2. ipconfig /flushdns 실행 후 즉시 확인합니다.
3. 광고 리소스 경로가 바뀐 사례가 드물게 존재합니다. 이 경우 방화벽 규칙(도메인/호스트 차단)과 라우터·Pi-hole 같은 네트워크 단 차단을 보강합니다.
4) 되돌리기와 안전 대안: 복구·방화벽·네트워크 차단
1. 되돌리기(복구)
1. hosts에서 방금 추가한 127.0.0.1 display.ad.daum.net 한 줄을 삭제하고 저장합니다.
2. 관리자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flushdns 실행 → 카카오톡 재실행.
3. 여전히 이상하면 카카오톡 설정 초기화(캐시/임시 폴더 정리)나 재설치를 검토합니다.
2. 방화벽 아웃바운드 규칙(정책 친화)
1. “Windows Defender 방화벽 고급 보안” 실행 → [아웃바운드 규칙] → [새 규칙].
2. 규칙 종류: “사용자 지정” → 대상: 도메인 이름에 display.ad.daum.net 입력 → 동작: “차단”.
3. 파일을 건드리지 않아 감사를 통과하기 유리하고, 기업 환경에서도 적용 협의가 비교적 수월합니다.
3. 네트워크 단 차단(가정용 고급 대안)
1. 라우터 지원 기능 또는 Pi-hole 같은 DNS 싱크홀 장비를 사용하면 집 안 모든 기기에서 광고를 동시에 줄일 수 있습니다.
2. 도메인 기반 차단은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PC 포맷이나 앱 재설치와 무관하게 지속됩니다.
3. 다만 서비스 약관·정책을 항상 확인하고, 업데이트로 도메인 구성이 바뀔 때 즉시 목록을 갱신해야 합니다.
5) Q&A
1. hosts 방식은 안전한가요?
시스템 파일을 수정하는 만큼 백업이 필수입니다. 광고만 차단하는 한 줄 추가는 복구가 간단하고, 기능적 부작용이 생기면 원복 후 DNS 캐시를 비우면 됩니다.
2. 저장이 자꾸 안 됩니다.
관리자 권한 미부여·확장자 hosts.txt 저장·백신 실시간 보호가 대표 원인입니다. 권한 재확인, 파일 형식 “모든 파일(.)”, 저장 순간 보호 일시 해제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회사 PC에서 가능한가요?
정책·EDR 차단이 있으면 파일 수정이 금지됩니다. 이때는 보안정책 내 허용되는 방화벽 아웃바운드 규칙으로 도메인 차단을 설정하세요. 사전 승인과 변경 이력 기록이 필요합니다.
4. 모바일·맥도 되나요?
본 문서는 Windows PC 카카오톡 기준입니다. 맥·모바일은 구조와 권한 체계가 달라 동일한 절차로는 어렵고, 네트워크 단 차단(Pi-hole 등) 같은 대안을 검토해야 합니다.
핵심은 “관리자 권한으로 hosts 한 줄 추가→DNS 캐시 초기화→재실행”이며, 저장 실패·권한 문제·효과 없음까지 대비하면 검색 의도 전 구간을 커버해 체류와 재방문을 동시에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24 이력서 작성·자격증 등록·출력(PDF 저장) 한 번에 요약 (0) | 2025.09.08 |
---|---|
유튜브 다른 기기 로그아웃 방법|PC·모바일·TV 한 번에 해제 (0) | 2025.09.08 |
국민카드 카드번호 조회 | KB Pay ‘소유카드관리’ + 홈페이지 (0) | 2025.09.03 |
KB국민은행 지점코드 확인 3가지 | 고객센터·지점 안내·금융결제원 역검색 (0) | 2025.09.03 |
유심핀 없을 때 유심 빼는 법 | 클립·바늘·샤프로 5분 만에 안전 분리 (0) | 2025.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