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최근 "폐기물관리법 위반 사항이 접수되었습니다", "환경과에서 과태료 납부를 요청드립니다"와 같은 문자를 받았다는 보이스피싱 신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폐기물 불법투기 과태료 통지, 가상계좌 송금 유도 등의 환경과 시청 등 공공기관을 사칭한 문자도 많습니다. 본 글에서는 환경과 사칭 문자 유형, 실제 행정절차와의 차이점, 그리고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될 때의 대응법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1. 폐기물관리법 위반 통지, 왜 의심해야 하나?
최근 전국적으로 '○○시청 환경과', '환경부 산하 기관'을 사칭해 폐기물 불법투기 적발이나 폐기물 처리 미신고 등의 명목으로 연락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을 사용합니다.
문자 또는 전화로 ‘귀하의 폐기물관리법 위반 사항이 접수되었습니다’는 내용 발송 공문서처럼 보이는 첨부파일 또는 링크 전달
“신분 확인을 위해 인증이 필요하다”며 주민번호, 계좌번호 요청
“벌금 납부가 늦으면 형사처벌 대상이 된다”며 가상계좌 송금 요구
이러한 수법은 정부 기관을 사칭한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보이스피싱 유형과 유사합니다. 특히 실존하는 기관명을 도용하거나, 공공기관 홈페이지와 흡사한 디자인을 사용해 피해자가 쉽게 속도록 유도합니다.
2. 실제 폐기물관리법 위반 통지는 어떻게 오나?
진짜 ‘폐기물관리법 위반’ 통지는 절대 전화나 문자, 메신저로 먼저 오지 않습니다. 실제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자체(시청·구청 환경과) 또는 환경부 산하기관에서 등기우편 발송
- 위반 사실, 법 조항, 과태료 금액 등이 명시된 공문 형식의 문서가 등기로 발송됩니다.
- 수신자는 본인 확인을 거쳐 등기를 수령하며, 공문 상 담당자 연락처가 공식적으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 행정처분 예고 및 의견 제출 기회 제공
- 실제 위반이 확인되기 전 ‘사전통지서’ 형식으로 의견서를 제출할 기회를 주는 것이 원칙입니다.
- 벌금이나 과태료는 반드시 계좌번호와 기관명 명시
관할 기관의 ‘수납 전용 계좌’로만 입금하며, 가상계좌로 유도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즉, 문자 링크 클릭을 유도하거나 전화로 송금을 요청하는 방식은 100% 사기입니다.
3. 폐기물관리법 위반 통지 문자 또는 전화 수신 시 대응 방법
'폐기물관리법 위반'이라는 내용의 전화나 문자를 받았다면, 당황하지 말고 아래와 같은 절차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이는 환경과 사칭 보이스피싱 수법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전화로 절대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마세요.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주소 등 개인 정보는 어떤 경우에도 전화상으로 알려주어서는 안 됩니다.
정부기관은 전화로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2. 문자나 메신저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악성 앱 설치나 개인정보 탈취로 이어질 수 있으며, 스마트폰 해킹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실 여부는 반드시 공식 경로를 통해 확인하세요.
‘정부24(www.gov.kr)’, ‘환경부(www.me.go.kr)’, 또는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환경과나 폐기물 담당 부서의 공식 전화번호를 직접 확인한 뒤 연락하세요.
3. 공공기관을 사칭한 번호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4. 보이스피싱이 의심된다면 즉시 112에 신고하세요.
‘보이스피싱 신고센터(국번 없이 112)’에 연락하면 경찰청 사이버범죄 수사팀을 통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범죄 의심 번호나 피해 정황을 상세히 전달하세요.
5. 이미 송금을 했다면 ‘계좌 지급정지’를 신청하세요.
금융감독원 콜센터 ☎ 1332, 각 은행의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보이스피싱 피해 사실을 알리고, 해당 계좌에 대한 지급정지 조치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빠르게 조치할수록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 번호, 진짜 공공기관일까요? 보이스피싱 사례와 대처방법 총정리
최근 '폐기물관리법 위반'이라는 제목의 문자 또는 전화 연락을 받은 후,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실제 행정처분이 아닌 '환경과 사칭 보이스피싱' 수법일 가능
4minute.salda.co.kr
‘폐기물관리법 위반’이라는 말은 생소하고 위협적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심리적 불안을 자극해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돈을 빼내는 것이 바로 보이스피싱의 핵심 수법입니다. 최근에는 실제 법령이나 제도를 활용해 더욱 정교한 수법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냉정하게 상황을 판단해야 합니다.
공문은 등기우편으로, 벌금은 관공서 계좌로만 진행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문자나 전화로 먼저 접근하는 방식은 대부분 사기이므로, 절대 응하지 말고 바로 확인 후 신고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 |
![]() |
![]() |
![]() |
![]() |
![]() |
![]() |
![]() |
![]() |
![]() |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세 이상 전기요금 복지할인 신청 총정리 + 이렇게 하면 감면 안됨 (0) | 2025.07.03 |
---|---|
에어컨 실외기 물떨어짐 셀프점검|배수트레이,드레인, 물받이, 배관, 경사 (0) | 2025.07.03 |
벽걸이 에어컨 물떨어짐 원인 해결법|배수 호스 막힘·응축수 누수 셀프수리 (0) | 2025.07.03 |
50~60대 재취업을 위한 국비지원 국가자격증 추천 7가지 (0) | 2025.06.27 |
인천공항 주차요금 할인받는 방법 _경차·전기차·다자녀·장애인 감면 기준 (0) | 2025.06.22 |